인간을 태우는 온실가스
지구온난화

인간을 태우는 온실가스

by 민이슈 2023. 7.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얼마 전에 지구온난화를 정리한 민이슈입니다.

 

오늘은 전 글에서 말했듯이 온실가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온실가스란?

 

 온실기체. 혹은 온실가스는 태양에서부터 들어오는 가사광선은 통과시키고 지면에서 복사된 적외선의 복사열을 흡수하여 대기 중 기온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기체를 뜻합니다.

 

  • 가시광선: 일상적으로 말하는 빛,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광선이다.

 

온실가스 종류별 영향

 

 적외선 복사열을 흡수하거나 재방출하여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대기  중의 가스 상태의 물진은 이산화 탄소, 메탄, 아산화지소, 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육플루오린화황 및 그 밖에 물질입니다.

 

아래에는 수증기, 이산화탄소, 메테인, 오존의 ppm기여율입니다.

나무위키

 위에 표를 보신 분들은 전부 의아해 하실 겁니다. 바로 수증기가 앞도적으로 온실효과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죠. 하지만 수증기는 인간에 의해 그 양이 변하지 않는, 물의 순환의 일부 과정에 있는 기체이기 때문에 온난화의 주범이라고 할 수 없고, 규제물질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밑에는 이산화 탄소와 프레온가스. 그리고 메탄이 규제된 이유입니다.

 

  • 이산화탄소 - 가장 많이 차지하고, 산업화 이후 가장 늘어났기에 주로 규제 대상. 하지만 같은 양이라면 프레온 가스나 이산화질소, 메탄이 더 큽니다.
  • 프레온가스 - 오존층 파괴 때문에 금지했는데, 훗날 온실가스이기도 하다는 점이 밝혀졌습니다.
  • 메탄 - 발효, 쓰레기 등의 부패, 동물의 배설물, 방귀, 냉대기후의 해빙으로 인한 배출 등이 원인입니다.

 

분야별 탑은?

 2016년,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약 4분의 3은 에너지 관련 분야에서 배출된다고 합니다. 에너지. 관련 분야는 전기, 열, 수송의 생산이나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을 합친 것으로 산업에 사용된 에너지 24.2% 중 철강 산업이 (전체 대비) 7.2%, 도로 교통이 11.9%, 가정에서 사용된 에너지의 비율은 10.9%를 차지했습니다. 2019년,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식품과 관련된 부분이 4분의 1까지도 차지했다고 합니다.(가축을 기르고, 토지를 무분별하게 이용하고, 수송하는 에너지를 합친 값) 2020년,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세계의 생산된 전기의 60%가 화력발전소가 담당했습니다. 2021년, 빌 게이츠의 책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에 따르면, 2020년 기준 510억t의 탄소 배출을 분야별로 나누면 제조(31%), 발전(27%), 식량(19%), 교통(16%), 냉난방(7%) 5대 분야가 된다고 합니다.

 

국가 탑은?

먼저 우리나라를 보면 (2019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이 약 7억 톤입니다. 특히 에너지 분야의 배출량이 총배출량의 약 87%에 달하고, 보고서의 주요배출원 분석 결과를 보면 서탄 등 고체연로에 의한 배출이 전체의 4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네요. 럼 1위는 어느 국가일까요?

 

(2018년 기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553억 톤)

 

온실기체는 미국과 중국이 가장 많이 배출을 하는데, 미국은 2007년까지 세계 1위였으나, 2008년부터 중국이 배출량 1위를 달성해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1년 기준)

 

  • 중국: 약 100억 톤
  • 미국: 약 47억 톤
  • 인도: 약 25억 톤
  • 러시아: 약 15억 톤
  • 일본: 약 10억 톤

 

 우리나라는 약 6억으로 전세계 8위를 차지했었습니다. 저희 나라 또한 만만지 않은 수치라는 거죠.. 그리고 눈에 띄는 중국. 약 100억 톤을 배출하고 있는데, 인당으로 치면 미국은 중국보다 훨씬 높습니다. 이유는 아마 쓰레기를 분리하지 않고 버린다던가, 에너지 사용을 훨씬 많이 하기 때문이겠죠?

 

결론

 이번 글은 온실가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어떠셨나요? 아마 충격적이었을 수도 있고, 그냥 그렇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겠죠? 하지만 지구온난화의 주범이 이 온실가스라고 많은 과학자들이 이야기를 하니, 여러분들 또한 이 온실가스에 대해 더 관심을 가져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이만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