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빛을 내는 야광충이 환경오염과 관계가 있다?
카테고리 없음

푸른 빛을 내는 야광충이 환경오염과 관계가 있다?

by 민이슈 2023. 10. 24.
반응형

홍콩 해안에서 푸른빛을 내는 형광 물질이 발견돼 관심을 가졌었죠. 그렇다면 이 형광 물진은 무엇일까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해양 생물 중 하나인 ‘야광충’ 입니다.

‘야광충’은 단세포 생물로 세포 내에 다량의 인을 함유하고 있어 야간에 스스로 빛을 내며 수온이 높을 때 이상번식을 합니다. 이는 수온이 높아지며 ‘야광충’이 급격히 많아져 나타난 현상입니다. 이런 현상은 홍콩뿐만 아니라 미국, 우루과이 등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저희는 그 원인의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오늘은 야광충과 그 원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야광충

야광충은 광합성 능력이 없어 먹이를 섭식하는 종속영양생물에 속합니다. 또한 박테리아, 식물플랑크톤, 요각류의 알과 어린 개체 등을 먹고 살지만 새로이 알려진 바에 따르면 어류의 치어, 어류의 알, 요각류 성 체, 지각류, 그리고 심지어는 송홧가루까지 먹을 수 있는 것은 닥치는 대로 먹는다고 합니다. 몸체는 일반적 으로 구형이고 길이는 200~2,000 마이크로미터입니다. 생식방법은 분열에 의한 무성생식도 하고 유성생식도 하죠. 이러한 특성 덕분에 빠른 시간에 개체수를 늘릴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가장 더운 열대 지방에서부터 온대 해역을 거쳐 가장 추운 극지방까지, 전 세계에 광범위하게 나타납니다.

야광충은 조건이 갖춰지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런 매커니즘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요인보다는 알맞은 먹이와 수온, 그리고 염분과 같은 복합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 야광충의 증가는 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데 바다의 색이 빨간 토마토 주스처럼 보이고, 물의 흐름이 갇힌 곳에서 좀 더 오랫동안 관찰할 수 있습니다. 또 밤에는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데, 특히 물의 흐름을 조절하거나 충격을 주면 힘에 비례해 불꽃쇼를 연상하게 하는 장면이 연출되죠. 야광충은 자체 발광기관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세포 내 발광물질인 루시 페린이 있어 푸른 빛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환경문제

야광충이 발생할 때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요? 바로 발생지역의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량이 부족해지고,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합니다. 그 결과 양식장에서 자라는 어류가 그물을 벗어날 수 없어 가장 고통을 받죠. 결국 아가미로 호흡을 하기 힘들어져 대량 폐사를 일으킵니다. 물론 우리나라 해역에서 야광충은 아직 그 존재가 골칫거리로 부각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구열대화로 인한 수온 상승 때문에 야광충의 대발생이 더 자주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실제로 이런 특성을 지닌 야광충 대발생이 2014년 독도 주변 해역에서 관찰되었었습니다. 전례 없는 이 사례는 연안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한 야광충이 해류를 타고 독도까지 온 것인지, 아니면 독도 주변 해역에 상시적으로 존재하는 것인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죠. 하지만 야광충이 독도 주변 해역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 것은 사실이기에 우리는 야광충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점점 지구열대화로 사람들이 예측할 수 없는 이상 현상들이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피해를 받지 않아도 될 생명들이 수많은 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희 또한 남의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는 태도를 갖추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공감과 광고 한 번씩 눌러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